딜루딘이 암탉의 산란율에 미치는 영향 및 그 작용 기전 연구

추상적인실험은 딜루딘이 암탉의 산란 성과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계란과 혈청 매개변수의 지수를 결정하여 효과의 메커니즘에 접근하기 위해 수행되었습니다.1024마리의 ROM 암탉을 64마리씩 4회 반복한 4개 그룹으로 나누었습니다.치료 그룹은 80일 동안 각각 0, 100, 150, 200mg/kg의 딜루딘이 보충된 동일한 기초 사료를 받았습니다.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사료에 딜루딘을 첨가하면 암탉의 산란 성과가 개선되었으며, 그중 150mg/kg 처리가 가장 좋았습니다.산란율은 11.8% 증가했고(p<0.01), 계란 중량 전환율은 10.36% 감소했습니다(p<0.01).계란 중량은 첨가된 딜루딘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했습니다.딜루딘은 혈청 요산 농도를 유의하게 감소시켰고(p<0.01), 딜루딘을 첨가하면 혈청 칼슘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했습니다.2+무기 인산염 함량과 혈청 알카인 인산가수분해효소(ALP) 활성이 증가하여(p<0.05), 계란 파손(p<0.05)과 이상(p<0.05) 감소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습니다. 딜루딘은 난백 높이를 유의하게 증가시켰습니다. 호우 값(p<0.01), 껍질 두께 및 껍질 무게(p<0.05)도 150mg/kg과 200mg/kg 딜루딘은 계란 노른자의 총 콜레스테롤을 감소시켰지만(p<0.05), 계란 노른자 무게는 증가시켰습니다(p<0.05). 또한, 딜루딘은 리파아제 활성을 증가시키고(p < 0.01), 혈청 중성지방(TG3)(p < 0.01)과 콜레스테롤(CHL)(p < 0.01) 함량을 감소시켰으며, 복부 지방 비율(p < 0.01)과 간 지방 함량(p < 0.01)을 감소시켜 닭의 지방간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었습니다. 딜루딘을 30일 이상 사료에 첨가했을 때 혈청 내 SOD 활성이 유의하게 증가했습니다(p < 0.01). 그러나 대조군과 투여군 간에 혈청 내 GPT와 GOT 활성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습니다. 이는 딜루딘이 세포막 산화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추론됩니다.

핵심 단어딜루딘; 닭; SOD;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리파아제

 치켄-사료 첨가제

디루딘은 새로운 비영양성 항산화 비타민 첨가제이며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습니다.[1-3]생물학적 막의 산화를 억제하고 생물학적 세포 조직을 안정화하는 등의 효과가 있습니다. 1970년대에 구소련 라트비아의 농업 전문가는 딜루딘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음을 발견했습니다.[4]가금류의 성장을 촉진하고 일부 식물의 동결 및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딜루딘은 동물의 성장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동물의 생식 능력을 현저히 향상시키고, 암컷 동물의 임신율, 우유 생산량, 산란율, 부화율을 개선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1, 2, 5-7]중국에서 딜루딘 연구는 1980년대부터 시작되었으며, 현재까지 중국에서 딜루딘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사용 효과에 국한되어 있으며, 산란계에 대한 임상 시험은 소수에 불과합니다. 천쥐팡(1993)은 딜루딘이 가금류의 산란율과 계란 중량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그 효과를 심화시키지는 못했다고 보고했습니다.[5]그 작용 기전에 대한 연구. 따라서 저희는 딜루딘이 첨가된 사료를 산란계에 급여하여 그 효과와 작용 기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했으며, 그 결과의 일부를 다음과 같이 보고합니다.

표 1 실험사료의 구성 및 영양성분

%

----------------------------------------------------------------------------------------------

식단 구성 영양소 성분

----------------------------------------------------------------------------------------------

옥수수 62 ME③ 11.97

콩펄프 20 CP 17.8

어분 3 Ca 3.42

유채씨박 5 P 0.75

뼛가루 2 M et 0.43

돌가루 7.5 M et Cys 0.75

메티오닌 0.1

소금 0.3

멀티비타민① 10

미량원소② 0.1

------------------------------------------------------------------------------------------

① 종합비타민제 : 리보플라빈 11mg, 엽산 26mg, 오리자닌 44mg, 니아신 66mg, 비오틴 0.22mg, 비타민B6 66mg, 비타민B12 17.6ug, 콜린 880mg, 비타민K 30mg, 비타민B6 66IUE, 6600ICU의 VD그리고 20000ICU의 VA, 1kg의 식단에 추가하고, 50kg의 식단에 10g의 종합 비타민을 추가합니다.

② 미량원소(mg/kg) : 사료 1kg당 Mn 60mg, Zn 60mg, Fe 80mg, Cu 10mg, I 0.35mg, Se 0.3mg을 첨가합니다.

③ 대사에너지의 단위는 MJ/kg을 말합니다.

 

1. 재료 및 방법

1.1 시험재료

베이징 순푸 바이오켐 앤 테크 유한회사는 딜루딘을 제공해야 하며, 시험 동물은 300일 된 로마 상업용 난계로 지정해야 합니다.

 칼슘 보충제

실험사료: 시험사료는 NRC 표준에 따라 생산 중 실제 상황에 맞춰 준비해야 하며, 그 내용은 표 1과 같습니다.

1.2 시험 방법

1.2.1 사료 실험: 사료 실험은 젠더시 홍지 회사 농장에서 실시한다. 1,024마리의 산란계(Roman Alternative Cyanide)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4개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당 256마리씩 배정한다(각 그룹은 4회, 각 암탉은 64회 반복). 암탉들에게는 딜루딘 함량이 다른 4가지 사료를 급여하고, 각 그룹에 0, 100, 150, 200mg/kg의 사료를 첨가한다. 실험은 1997년 4월 10일에 시작되었으며, 암탉들은 자유롭게 사료를 찾고 물을 마실 수 있었다. 각 그룹의 사료 섭취량, 산란율, 산란량, 깨진 계란 수, 그리고 이상 계란의 수를 기록한다. 또한, 실험은 1997년 6월 30일에 종료되었다.

1.2.2 계란 품질 측정: 계란 품질과 관련된 지표(계란 ​​모양 지수, 호우 단위, 껍질의 상대 중량, 껍질 두께, 노른자 지수, 노른자의 상대 중량 등)를 측정하기 위해 시험을 실시하는 40일 동안 계란 20개를 무작위로 채취해야 합니다. 또한, 노른자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닝보 츠시 생물화학 시험 공장에서 생산한 자성 시약을 사용하여 COD-PAP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해야 합니다.

1.2.3 혈청 생화학적 지표 측정: 30일 동안 시험을 실시할 때마다 각 군에서 16마리의 시험 닭을 채취하고, 시험 종료 시 날개 정맥에서 채혈하여 혈청을 준비합니다. 관련 생화학적 지표 측정을 위해 혈청은 저온(-20℃)에 보관합니다. 복부 지방률과 간 지질 함량은 도축 후 혈액 채취 후 복부 지방과 간을 제거하여 측정합니다.

Superoxide dismutase(SOD)는 Beijing Huaqing Biochem. & Tech. Research Institute에서 생산한 시약 키트를 사용하여 포화법을 사용하여 측정해야 합니다.혈청의 요산(UN)은 Cicheng 시약 키트를 사용하여 U ricase-PAP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해야 합니다.중성지방(TG3)은 Cicheng 시약 키트를 사용하여 GPO-PAP 1단계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해야 합니다.리파제는 Cicheng 시약 키트를 사용하여 비탁법을 사용하여 측정해야 합니다.혈청 총 콜레스테롤(CHL)은 Cicheng 시약 키트를 사용하여 COD-PAP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해야 합니다.글루타민산-피루브산 트랜스아미나제(GPT)는 Cicheng 시약 키트를 사용하여 비색법을 사용하여 측정해야 합니다.글루타민산-옥살아세트산 트랜스아미나제(GOT)는 Cicheng 시약 키트를 사용하여 비색법을 사용하여 측정해야 합니다. 알칼리성 인산가수분해효소(ALP)는 Cicheng 시약 키트가 있는 상태에서 속도법을 사용하여 측정해야 합니다. 칼슘 이온(Ca2+혈청의 )은 Cicheng 시약 키트를 사용하여 메틸티몰블루 복합법을 사용하여 측정해야 하며, 무기인(P)은 Cicheng 시약 키트를 사용하여 몰리브데이트블루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해야 합니다.

 

2 테스트 결과

2.1 산란 성능에 미치는 영향

딜루딘을 사용하여 처리한 다양한 그룹의 산란 성능은 표 2에 나와 있습니다.

표 2 4가지 수준의 디루딘을 보충한 기초 사료를 먹인 암탉의 성능

 

첨가할 디루딘의 양(mg/kg)
  0 100 150 200
사료 섭취량(g)  
산란율(%)
계란의 평균 무게(g)
재료와 계란의 비율
깨진 계란 비율(%)
비정상 난자 비율(%)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디루딘을 사용하여 처리한 모든 군의 산란율은 눈에 띄게 향상되었으며, 150mg/kg을 사용하여 처리했을 때의 효과가 최적(최대 83.36%)이었고, 대조 군과 비교했을 때 11.03%(p<0.01) 향상되었습니다. 따라서 디루딘은 산란율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계란의 평균 중량에서 볼 때, 일일 식단에서 디루딘이 증가함에 따라 계란의 중량이 증가하고 있습니다(p>0.05). 대조 군과 비교했을 때, 사료 섭취량을 평균 1.79g 첨가했을 때 디루딘 200mg/kg을 사용하여 처리한 군의 모든 처리 부위 간의 차이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디루딘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그 차이는 점차 더 뚜렷해지며, 가공 부위별 재료와 계란의 비율 차이가 뚜렷합니다(p<0.05). 디루딘 150mg/kg에서 효과가 가장 좋으며, 1.25:1로 대조군에 비해 10.36% 감소했습니다(p<0.01). 가공 부위별 깨진 계란 비율을 보면, 디루딘을 일일 식단에 첨가하면 깨진 계란 비율(p<0.05)이 감소할 수 있으며, 디루딘이 증가함에 따라 비정상 계란의 비율도 감소했습니다(p<0.05).

 

2.2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

표 3에서 볼 수 있듯이, 딜루딘을 일일 식단에 첨가했을 때 계란 모양 지수와 계란 비중은 영향을 받지 않았고(p>0.05), 딜루딘을 일일 식단에 첨가할수록 껍질 무게는 증가했습니다. 딜루딘을 150mg/kg과 200mg/kg 첨가했을 때 껍질 무게는 기준군에 비해 각각 10.58%와 10.85% 증가했습니다(p<0.05). 계란 껍질의 두께는 일일 식단에서 딜루딘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데, 딜루딘 100mg/kg을 첨가했을 때 계란 껍질의 두께가 기준군에 비해 13.89%(p<0.05) 증가했고, 150mg/kg과 200mg/kg을 첨가했을 때 계란 껍질의 두께가 각각 19.44%(p<0.01)와 27.7%(p<0.01) 증가했습니다. 딜루딘을 첨가했을 때 Haugh 단위(p<0.01)가 현저히 개선되었는데, 이는 딜루딘이 계란 흰자의 농후한 알부민 합성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음을 나타냅니다. 딜루딘은 노른자 지수를 개선하는 기능이 있지만 그 차이는 현저하지 않습니다(p<0.05). 모든 군의 난황 콜레스테롤 함량은 차이가 있었으며, 딜루딘 150mg/kg과 200mg/kg을 첨가한 후 현저히 감소했습니다(p<0.05). 난황의 상대 중량은 딜루딘 첨가량 차이로 인해 서로 달랐는데, 딜루딘 150mg/kg과 200mg/kg을 첨가했을 때 난황의 상대 중량이 대조군 대비 각각 18.01%와 14.92% 증가했습니다(p<0.05). 따라서 적절한 딜루딘은 난황 합성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표 3 딜루딘이 난자 품질에 미치는 영향

첨가할 디루딘의 양(mg/kg)
계란 품질 0 100 150 200
계란 모양 지수(%)  
계란 비중(g/cm3)
계란 껍질의 상대적 무게(%)
달걀 껍질의 두께(mm)
호우 유닛(U)
계란 노른자 지수(%)
달걀 노른자의 콜레스테롤(%)
계란 노른자의 상대적 중량(%)

 

2.3 산란계의 복부지방률 및 간지방 함량에 미치는 영향

디루딘이 난계 복부지방률 및 간지방 함량에 미치는 영향은 그림 1과 그림 2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림 1 난계 복부지방률(PAF)에 대한 딜루딘의 효과

 

  복부 지방 비율
  첨가할 디루딘의 양

 

 

그림 2 딜루딘이 산란계의 간지방 함량(LF)에 미치는 영향

  간 지방 함량
  첨가할 디루딘의 양

그림 1에서 볼 수 있듯이, 시험군의 복부 지방 비율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100mg/kg의 디루딘과 150mg/kg의 디루딘을 첨가했을 때 각각 8.3%와 12.11%(p<0.05) 감소하였고, 200mg/kg의 디루딘을 첨가했을 때 복부 지방 비율은 33.49%(p<0.01) 감소하였다. 그림 2에서 볼 수 있듯이, 100, 150, 200mg/kg의 디루딘으로 처리한 간 지방 함량(절대 건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각각 15.00%(p<0.05), 15.62%(p<0.05), 27.7%(p<0.01) 감소하였다. 따라서 디루딘은 복부 지방 비율과 산란계 내용물의 간 지방 함량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디루딘 200mg/kg을 첨가했을 때 그 효과가 가장 우수하다.

2.4 혈청 생화학적 지수에 대한 효과

표 4에서 볼 수 있듯이 SOD 검사의 1상(30일) 동안 처리된 부분 간의 차이는 명확하지 않으며, 검사의 2상(80일)에서 디루딘을 첨가한 모든 군의 혈청 생화학적 지수는 대조 군보다 높았습니다(p<0.05). 혈청의 요산(p<0.05)은 디루딘 150mg/kg 및 200mg/kg을 첨가했을 때 감소할 수 있었고, 1상에서 디루딘 100mg/kg을 첨가했을 때 효과가 있었습니다(p<0.05). 디루딘은 혈청의 트리글리세리드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 효과는 1상에서 디루딘 150mg/kg을 첨가했을 때 군에서 최적(p<0.01)이고, 2상에서 디루딘 200mg/kg을 첨가했을 때 군에서 최적이었습니다. 혈청 내 총 콜레스테롤은 일일 식단에 첨가된 디루딘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더 구체적으로, 1상에서 디루딘 150mg/kg 및 200mg/kg을 첨가했을 때 혈청 내 총 콜레스테롤 함량이 대조군에 비해 각각 36.36%(p<0.01) 및 40.74%(p<0.01) 감소하였고, 2상에서 디루딘 100mg/kg, 150mg/kg 및 200mg/kg을 첨가했을 때 대조군에 비해 각각 26.60%(p<0.01), 37.40%(p<0.01) 및 46.66%(p<0.01) 감소하였다. 또한, ALP는 일일 식단에 첨가된 디루딘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반면, 디루딘 150mg/kg 및 200mg/kg을 첨가한 그룹의 ALP 수치는 대조 그룹보다 명백히 높았습니다(p<0.05).

표 4 딜루딘이 혈청 매개변수에 미치는 영향

시험 1상(30일)에 첨가할 디루딘의 양(mg/kg)
0 100 150 200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mg/mL)  
요산
트리글리세리드(mmol/L)
리파제(U/L)
콜레스테롤(mg/dL)
글루탐산-피루브산 트랜스아미나제(U/L)
글루탐산-옥살아세트산 트랜스아미나제(U/L)
알칼리성 인산가수분해효소(mmol/L)
칼슘 이온(mmol/L)
무기인(mg/dL)

 

시험 2상(80일)에 첨가할 디루딘의 양(mg/kg)
0 100 150 200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mg/mL)  
요산
트리글리세리드(mmol/L)
리파제(U/L)
콜레스테롤(mg/dL)
글루탐산-피루브산 트랜스아미나제(U/L)
글루탐산-옥살아세트산 트랜스아미나제(U/L)
알칼리성 인산가수분해효소(mmol/L)
칼슘 이온(mmol/L)
무기인(mg/dL)

 

3 분석 및 논의

3.1 시험에서 딜루딘은 산란율, 계란 중량, 호우 단위, 그리고 난황의 상대 중량을 개선하였는데, 이는 딜루딘이 단백질 동화를 촉진하고 난백의 농후 난백과 난황 단백질의 합성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혈청 내 요산 함량이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혈청 내 비단백질 질소 함량 감소는 단백질의 이화 속도를 감소시키고 질소의 체류 시간을 지연시킨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 결과는 단백질 체류 시간을 증가시키고 산란을 촉진하며 산란계의 계란 중량을 증가시키는 근거를 제공했다. 시험 결과는 딜루딘 150mg/kg을 첨가했을 때 산란 효과가 최적임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앞서 제시된 결과와 본질적으로 일치한다.[6,7]바오얼칭과 진상지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산란계 후기에 딜루딘을 첨가하여 얻은 결과입니다. 딜루딘의 양이 150mg/kg을 초과하면 효과가 감소하였는데, 이는 단백질 변형 때문일 수 있습니다.[8]딜루딘의 과도한 복용과 장기의 대사에 대한 과도한 부하로 인해 영향을 받았습니다.

3.2 Ca의 농도2+산란란 혈청의 인(P) 농도가 감소하였고, 딜루딘 존재 하에서 혈청 내 인(P) 농도가 초기에는 감소하였으며, ALP 활성은 현저히 증가하였다. 이는 딜루딘이 칼슘(Ca)과 인(P) 대사에 현저한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한다. 웨웬빈(Yue Wenbin)은 딜루딘이 흡수를 촉진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9] 무기질 원소인 철(Fe)과 아연(Zn)의 함량이 높으며, ALP는 간, 뼈, 장관, 신장 등의 조직에 주로 존재했습니다. 혈청 내 ALP는 주로 간과 뼈에서 유래했습니다. 뼈 내 ALP는 주로 골아세포에 존재하며, 인산의 분해를 촉진하고 인산 이온 농도를 증가시켜 형질전환 후 혈청 내 Ca₂와 인산 이온을 결합시키고, 수산화인회석 등의 형태로 뼈에 침착되어 혈청 내 Ca₂와 P₂의 감소를 유도했습니다. 이는 계란 품질 지표에서 계란 껍질 두께와 계란 껍질의 상대적 무게가 증가하는 것과 일치합니다. 또한, 산란율 측면에서 파란란율과 비정상란 비율이 현저히 감소했는데, 이는 이 점을 설명해줍니다.

3.3 산란계의 복부 지방 축적과 간 지방 함량은 딜루딘을 사료에 첨가함으로써 현저히 감소하였는데, 이는 딜루딘이 체내 지방 합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딜루딘은 초기 단계에서 혈청 내 리파아제 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딜루딘 100mg/kg을 첨가한 군에서 리파아제 활성이 현저히 증가하였고, 혈청 내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함량이 감소하였다(p<0.01). 이는 딜루딘이 중성지방 분해를 촉진하고 콜레스테롤 합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간의 지질 대사 효소가 활성화되어 지방 축적이 억제될 수 있다.[10,11], 그리고 계란 노른자의 콜레스테롤 감소도 이 점을 설명했습니다[13]. Chen Jufang은 딜루딘이 동물의 지방 형성을 억제하고 육계와 돼지의 살코기 비율을 개선하며 지방간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시험 결과는 이러한 작용 기전을 명확히 밝혔고, 시험 암탉의 해부 및 관찰 결과에서도 딜루딘이 산란계의 지방간 발생률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음을 입증했습니다.

3.4 GPT와 GOT는 간과 심장의 기능을 반영하는 두 가지 중요한 지표이며, 그 활성도가 너무 높으면 간과 심장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혈청 내 GPT와 GOT의 활성은 시험에서 디루딘을 첨가했을 때 뚜렷하게 변하지 않았으며, 이는 간과 심장이 손상되지 않았음을 나타냅니다. 또한 SOD 측정 결과 디루딘을 일정 시간 사용하면 혈청 내 SOD 활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SOD는 체내의 슈퍼옥사이드 자유 라디칼을 제거하는 주요 물질로, 체내 SOD 함량이 증가하면 생체막의 무결성을 유지하고, 생물의 면역 능력을 향상시키며, 동물의 건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합니다. Quh Hai 등은 디루딘이 생체막 내 6-포도당 인산 탈수소효소의 활성을 향상시키고 생물 세포의 조직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고 보고했습니다[2]. Sniedze는 쥐 간 미세소체에서 NADPH 특정 전자 전달 사슬에서 diludine과 관련 효소 간의 관계를 연구한 후 diludine이 NADPH cytochrome C reductase의 활성[4]을 명백히 억제한다고 지적했습니다. Odydents는 또한 diludine이 복합 산화효소 시스템과 NADPH와 관련된 미세소체 효소와 관련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4]. diludine이 동물에 들어간 후 작용 기전은 미세소체의 전자 전달 NADPH 효소의 활성을 차단하고 지질 화합물의 과산화 과정을 억제하여 산화에 저항하고 생물학적 막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8]. 이 시험 결과는 diludine이 생물학적 막을 SOD 활성의 변화에서 GPT 및 GOT 활성의 변화로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는 것을 증명했으며 Sniedze와 Odydents의 연구 결과를 입증했습니다.

 

참조

1 주개, 주명제, 진중지 등 양의 생식능 향상을 위한 디루딘의 연구J. 잔디와L이베스톡k 1994(2): 16-17

2. 굴해, 여엽, 왕보성, 딜루딘을 일일 식단에 첨가한 것이 육용토끼의 임신율과 정자 품질에 미치는 영향.J. 중국 토끼 사육 저널1994(6): 6-7

3. Chen Jufang, Yin Yuejin, Liu Wanhan 등. 사료 첨가제로서 디루딘의 확장 적용 시험사료 연구1993(3): 2-4

4 정샤오중, 리커루, 웨웬빈 등 가금류 성장 촉진제로서 디루딘의 적용 효과 및 작용 기전에 대한 논의사료 연구1995(7): 12-13

5. Chen Jufang, Yin Yuejin, Liu Wanhan 등. 사료 첨가제로서 디루딘의 확장 적용 시험사료 연구1993(3): 2-5

6 Bao Erqing, Gao Baohua, 북경오리 사육용 딜루딘 시험사료 연구1992(7): 7-8

7. 딜루딘을 이용한 산란 후기 육계 생산성 향상에 대한 진상지 실험광시 축산 및 수의학 저널1993.9(2): 26-27

8 Dibner J Jl Lvey FJ ​​가금류의 간 단백질 및 아미노산 대사 가금류 과학1990.69(7): 1188- 1194

9 웨웬빈, 장젠홍, 조페이 등 난계 사료에 딜루딘과 철-아연 제제 첨가에 관한 연구사료 및 가축1997, 18(7): 29-30

10 Mildner A na M, Steven D Clarke 돼지 지방산 합성효소의 보완적 DNA 복제, 해당 mRNA의 조직 분포 및 소마토트로핀과 식이 단백질에 의한 발현 억제 J Nutri 1991, 121 900

11 W alzon RL Smon C, M orishita T, et a I 정제된 사료를 과다 섭취한 암탉의 지방간 출혈 증후군 선택된 효소 활동 및 간 조직학은 간 출혈 및 생식 성능과 관련이 있습니다.가금류 과학,1993 72(8): 1479- 1491

12 Donaldson WE 병아리 간에서의 지질 대사는 먹이 섭취에 반응합니다.가금류 과학. 1990, 69(7) : 1183- 1187

13 Ksiazk ieu icz J. K ontecka H, ​​H ogcw sk i L 오리의 체지방 지표로서의 혈중 콜레스테롤에 대한 참고 사항동물 및 사료 과학 저널,1992, 1(3/4): 289- 294

 


게시 시간: 2021년 6월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