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다리새우의 스트레스를 어떻게 다루나요?

흰다리새우(Penaeus vannamei)가 변화하는 환경 요인에 반응하는 것을 "스트레스 반응"이라고 하며, 수중의 다양한 물리화학적 지표의 변화는 모두 스트레스 요인입니다. 새우가 환경 요인의 변화에 ​​반응하면 면역 능력이 감소하고 많은 신체 에너지를 소모하게 됩니다. 스트레스 요인의 변화 범위가 크지 않고 시간이 짧으면 새우는 이에 잘 대처하여 큰 피해를 입지 않습니다. 반대로 스트레스 시간이 너무 길면 변화가 심해져 새우의 적응력을 넘어서 병들거나 심지어 죽게 됩니다.

흰다리새우

Ⅰ. 새우 스트레스 반응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1. 새우의 붉은 수염, 붉은 꼬리 부채, 붉은 몸(스트레스 붉은 몸이라고도 함)

2. 재료를 급격히 줄이고, 재료를 먹지도 말고, 수영장을 따라 수영하세요.

3. 연못에 뛰어드는 것은 매우 쉽습니다.

4. 아가미가 노랗거나, 아가미가 검거나, 수염이 부러지는 현상이 나타나기 쉽습니다.

 

Ⅱ. 새우의 스트레스 반응 원인은 다음과 같다.

1. 조류 단계 돌연변이: 조류가 갑자기 죽거나, 물색이 맑아지거나 조류가 과도하게 자라거나, 물색이 너무 진해지는 경우 등.

2. 기후 변화, 예를 들어 한파, 태풍, 연속 강우, 폭우, 흐린 날씨, 한랭과 온난의 큰 온도 차이와 같은 심각한 기후 영향: 폭우와 연속 강우는 새우 양식장의 표면에 빗물을 고이게 합니다. 비가 내린 후, 표층수 온도는 낮아지고 저층수 온도는 높아져 물의 대류가 발생하고, 광합성 조류가 부족하여 많은 광합성 조류가 사멸(물갈이)합니다. 이러한 상태에서 물은 심각한 저산소증을 겪습니다. 수역의 미세 생태 균형이 깨지고 유해 미생물이 대량으로 번식(물이 하얗고 탁해짐)하여 양식장 바닥의 유기물이 쉽게 분해되어 혐기성 상태에서 황화수소와 아질산염을 생성하고 축적되어 새우의 중독 및 폐사를 유발합니다.

3. 수역의 물리화학적 지표의 변화: 수온, 투명도, pH값, 암모니아성 질소, 아질산염, 황화수소 등의 지표의 변화도 새우가 스트레스 반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됩니다.

4. 절기 교체: 절기 변경, 기후 예측 불가능, 기온 차이 심함, 풍향 불확실 등으로 인해 변화가 장기간 지속되어 새우 수역의 물리화학적 요인이 크게 변화하고, 이로 인해 새우의 강한 스트레스가 바이러스 발생 및 대규모 연못 배수를 초래합니다.

5. 자극성 살충제, 황산구리, 황산아연 또는 염소가 함유된 소독제와 같은 조류 약물을 사용하면 새우에 강한 스트레스 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Ⅲ. 스트레스 반응의 예방 및 치료

1. 물의 질과 침전물을 자주 개선하여 물의 전용을 방지해야 합니다.

탄소원을 보충하면 수질이 개선되고 조류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2. 강풍, 폭우, 뇌우, 비오는 날, 북풍 등 악천후 시에는 수역에 영양분을 적시에 공급하여 스트레스 반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3. 수분 보충량은 너무 많지 않아야 하며, 일반적으로 250px 정도가 적당합니다. 스트레스 완화 제품을 사용하면 스트레스 반응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4. 날씨 변화에 자주 주의를 기울이고, 스트레스 해소 제품을 사용하여 적절한 시기에 수질을 조절하세요.

5. 새우의 껍질을 많이 벗긴 후에는 적절한 시기에 칼슘을 보충하여 껍질을 빨리 딱딱하게 만들고 스트레스 반응을 줄여야 합니다.

 

 

 


게시 시간: 2021년 4월 27일